안성시의회 최호섭의원, 안성 동남부의 숨은 보석, 금광면이 지금 변화의 문턱에 서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금광호수가 있다.
최근 수석정 수변화원 조성사업이 준공되었고, 이와 더불어 ‘하늘전망대’와 유채꽃 단지, 달빛축제 등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콘텐츠가 하나둘 모여가고 있습니다. 게다가 세종~포천 고속도로의 금광 IC(예정)가 개통되면, 금광면은 수도권에서 한 시간 이내 접근 가능한 관광허브로 성장할 잠재력을 지니게 된다.
하지만 현실은 냉정합니다. 관광객은 오지만 머물 수 없습니다. 주차 공간은 협소하고, 숙박이나 편의시설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마을 진입도로는 관광버스 한 대가 지나기도 빠듯합니다. 현재로선 ‘둘러만 보고 돌아가는 관광’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저는 시의원으로서 수차례 금광면 주민들과 간담회를 진행하며 주변 개발을 일부 허용해달라는 요구를 직접 들었습니다. 주민들은 관광객이 몰려오는데도 마을은 발전하지 못하고, 정작 불편은 자신들이 감당해야 한다며 제도적 전환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늘전망대에서의 뷰는 전국 최고 수준이지만, 전망대까지의 접근성이나 부대시설 부족으로 인해 관광의 흐름이 단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해법이 바로 관광특구 지정입니다. 관광특구로 지정되면 옥외광고물, 야간 영업, 개발 인허가 등의 규제가 완화되고, 중앙정부 및 경기도로부터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민간투자 유치도 훨씬 수월해져 지역경제가 자연스럽게 활성화될 수 있다.
관광특구 지정은 절차가 간단하지는 않습니다. 안성시가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한 뒤, 경기도와 문화체육관광부에 지정 요청을 해야 합니다. 이후 중앙관광진흥협의회의 심의를 거쳐야 최종 지정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행정이 먼저 나서야, 민간이 따라옵니다. 지금이 그 첫걸음을 뗄 시점이다.
안성시의회는 금광면 일대의 관광특구 지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추진하고자 한다.
금광권 관광특구 조성을 위한 지원 조례 제정
개발 규제 완화에 대한 행정 절차 간소화 건의
주민과 전문가가 함께하는 공청회와 마스터플랜 수립
관광특구와 연계한 체류형 콘텐츠 및 숙박 기반 유치
금광호수의 물결은 조용히 흐르지만, 그 가능성은 거대합니다. 이제는 명소를 넘어 안성의 미래산업 핵심지로 도약해야 할 때입니다. 관광은 단순한 볼거리 제공이 아닌 지역의 삶을 바꾸는 산업입니다. 금광면의 도약은 안성의 도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