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기도

경기도교육청, ‘교육다운 교육’위원회 성과보고 보도자료 이재정 교육감 2기 비전 및 정책방향 제안

위원회 활동 결과 및 이재정 교육감 2기에 비전, 정책방향 등 제안

모든 아이들이 행복한 교육다운 교육비전목표 제시

문병선 위원장, “지난 4년 성찰, 앞으로 4년 청사진 제시하려 노력

 

󰏚 교육다운 교육위원회가 공식 활동을 마무리하며 이재정 교육감 2기에 제안하는 비전과 목표,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 교육다운 교육위원회는 19() 오전, 경기도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 달 동안의 인수위 활동보고 및 이재정 교육감 2기에 대한 비전과 목표, 정책방향 등을 밝혔다.

󰏚 기자회견에는 문병선 교육다운 교육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인수위원과 특위위원 등 14명이 참석했다.

󰏚 문 위원장은 민선 3기였던 지난 4년을 성찰하고, 앞으로 4년의 경기교육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며”,“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의 공약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논의를 해왔으며 앞으로 4년의 경기혁신교육, 미래교육의 비전이 담긴 합의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 위원회가 제안한 비전과 목표는 모든 아이들이 행복한 교육다운 교육이며 이에 대해 문 위원장은“‘교육다운 교육의 핵심은 이재정 교육감 1기의 학생중심·현장중심을 넘어, ‘학생현장이 주도하는 경기혁신교육3.0 시대를 활짝 열어가는 것이라며 이를 통해 모든 아이들의 행복을 책임지는 교육다운 교육을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 문 위원장은“‘이재정 교육감 2경기도교육청은 자치단체와 지방의회는 물론, 시민사회 등과 함께하는 강력한 혁신교육 거버넌스구축으로 새로운 혁신경기교육 3.0시대를 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위원회는 행정조직 혁신, 공약이행, 학교자치 및 소통, 미래교육 4개 분과와 평화통일교육, 청소년 등 2개 특위의 슬로건과 주요과제를 포함한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 행정조직 혁신 분과의 슬로건은 변화의 시작, 현장중심의 행정조직 개선이며 주요과제로 교육청 조직혁신 경기도교육인재개발원(가칭) 설립 교육시설안전관리원(가칭)설립 등이 제시됐다.

󰏚 공약이행 분과의 슬로건은 꿈을 키우고 함께 성장하는 경기혁신교육 실현이며 주요과제로 경기혁신교육 3.0 실현 무상교육의 단계적 확대 학생 중심의 학교 공간 재구성 등이 제시됐다.

󰏚 교육자치 및 소통 분과의 슬로건은 교육공동체의 참여와 소통으로 만들어가는 교육자치이며 주요과제로 학생의 학교운영위원회 회의 참여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교원업무 정상화 교권보호지원단(가칭) 설치·운영 교육현장의 시민참여기회 확대 등이 제시됐다.

󰏚 미래교육 분과의 슬로건은 상상하고 도전하는 학생주도의 미래교육이며 주요과제로 수업혁신을 넘은 교육과정 혁신 미래교육 환경 구축 취학 기간 중 8대 분야 현장체험교육기회 제공 등이 제시됐다.

󰏚 평화통일교육 특위의 슬로건은 평화감수성 신장으로 통일을 맞이하는 교육메카 구축이며 주요과제로 통일시민 교과서 성장단계별 확대 및 통일 콘텐츠 개발·보급 체험중심의 평화통일교육 인프라 구축 남북교류 활성화 추진 등이 제시됐다.

󰏚 청소년 특위의 슬로건은 청소년의 참여민주주주의로 공평한 학습사회 구축이며 주요과제로 청소년교육의회 설치 추진 공평한 학습사회 체계 마련 몽실학교 확대 등이 제시됐다.

󰏚 문 위원장은 이재정 교육감 2기는 앞으로 4년 동안 학생과 현장이 교육의 중심에 우뚝 서서, ‘학교 민주주의학교자치를 주도적으로 구현하는 교육다운 교육을 실현해 나갈 것라고 밝혔다.

󰏚 한편, 지난달 20일 출범한 교육다운 교육위원회는 12명의 인수위원과 4개 분과 자문위원 51, 2개 특위 특별위원 13, 실무위원 35명 등 총 111명의 위원으로 운영되었으며, 30일 간의 활동 끝에 오늘 공식 활동을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