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고려백자연구소(소장 조광행)에서는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서리 고려백자 요지(사적 329호)에서 발굴한 백자 파편의 성분 분석 및 형태를 연구, 고증 등을 거쳐 명품 <고려백자>를 당시 기술 및 재료로 복원한다고 밝혔다.
(용인고려백자 복원은 도편을 중심으로 연구 팀이 검증하고, 기술 토론을 거쳐 제작하므로 목록이 수시 변경되므로 생략.)
용인을 중심으로 약 10C부터 제작되어온 고려백자 중, 현존하는 작품을 선정하여, 21세기의 기술과 미학, 학술 연구 등을 통해 1000년 전의 아름다움과 예술 가치, 기물로서의 가치 등을 재현하고자 한다는 것이, 용인고려백자연구소의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용인기자협회(회장 천홍석)에서는 용인고려백자연구소와 (재)한국지식문화재단이 함께 용인고려백자의 문화적 예술적 가치에 대해, 용인시에 그 소중함을 제일먼저 용인시민들에게 널리 홍보하도록 협조를구하고, 단계적으로 유네스코 세계인류문화유산 추진위원회를 통해 유네스코등재를 추진할 예정인 것에 대해 시리즈로 합동취재단을 구성. 특별 취재하여 고려백자의 우월성을 널리 알릴 계획이다.
(제1편 : 용인 고려 백자 재현 및 복원)
(제2편 : 용인고려백자 초록)
제3편 : 고려백자란무엇인가?)
(제4편 : 유네스코(unesco) 세계인류문화유산 등재)
◑재현 작품 목록
1. 백자 상감모란 연문매병(12c)
<?XML:NAMESPACE PREFIX = "V" />
2. 백자 상감 국화문과형 화병(13c)
3. 백자 상감 모란 유로문 매병(12c)
4. 백자탁잔(11c)
5. 백자 다완(10c)
6. 백자상감 뇌문 마상배 (12c)
7. 백자연문 과형 화병(12c)
8. 백자 음각용문 매병(12c)
9. 백자 과형 주전자(13c)
10. 백자 철화 모란문 광구병
11. 백자 철자 광구병 백자
12. 화형 철사 화문완(12c)
13. 용인 고려백자 서리 상반 출토물(3~5점)
◑재현 및 복원 일정
1. 2015년 6월 1일 유약 시제품 완성(가스가마로 실험)
2. 2015년 6월 3일 ~ 2015년 7월 10일 제작
3. 2015년 7월 10일 초벌 구이
4. 2015년 7월 20일 유약 작업
5. 2015년 7월 22일 가마 작업
6. 2015년 7월 23일 불가마 소성(24시간)
7. 2015년 7월 26일 재현 작품 완성
장소 -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315번지 석봉 한도현 도요
스텝 - 연구 및 기획 : 조광행(용인고려백자연구소 소장),
김성곤(한국학중앙연구원 학예실장(전),
김연희(밝달문화예술원장)
기술 및 실험 : 수안 장영안(용인고려백자 명인)
마순관(용인고려백자 명인)
석봉 한도현 (용인고려백자 명인)
제작 : 석봉 한도현 도예 팀
진행 : 차현호 실장
용인고려백자요지와 용인옹기가마를 유네스코 세계 인류문화유산으로 등재합시다.
용인 고려백자연구소(소장 조광행)가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서리 소재, 국가 사적 제329호 고려백자 요지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나섰다. 용인 고려백자연구소는 일단 고려백자요지와, 천주교인들이 필사성경을 넣어 전도활동에 이용한 용인옹기가마 유적 두 가지를 중심으로, 세계문화유산 신청을 준비하고, 추후 연구 결과에 따라 고려청자의 발상지인 전남 강진, 조선백자의 생산지인 광주와 더불어, 공동 등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용인 고려백자연구소 조광행 소장은 “용인시 소재 고려백자 요지는 9~10세기경 한중 문화교류의 산 증거” 이며 “용인은 장보고의 세계무역센터인 청해진을 중심으로 중국, 신라, 일본, 태국, 인도 등 동남아시아와 서아시아로 퍼져나간 백자 문화의 발상지” 라며 “서리 사적지는 고려왕실에 왕실 기물로 공납된 우리나라 최초의 백자문화유적으로서, 세계문화유산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유네스코에 등재하기 위해 추진위를 구성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고려백자연구소 김연희 부소장은 “백자는 중국에서 575년에 최초로 출토된 이래 발전하여, 경덕진 등지에서 진보된 당시의 첨단 하이테크다. 옥에 버금가는 인기를 누린 백자 제조 기술이 장보고의 무역선단에 의해 한반도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왕실에 공납하기 좋은 용인시 이동면 일대가 백토, 유약 등 여러 가지 조건이 맞아, 용인 고려백자가 발달된 것으로 추정한다.” 면서 “용인은 백자의 발상지로서 서리 가마는 83미터라는 세계 최장(중국 가마터는 가장 긴 것이 73미터)으로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치가 매우 높다.”고 밝혔다.
용인 고려백자연구소는 지난해에 제1회 용인 고려백자축제를 개최했으며, 올해는 ‘고려백자, 천년의 부활’이란 주제로 제2회 축제를 준비 중이다.
연구소는, 이번 축제를 위해, 용인 사적지 발굴 과정에서 확보한 고려백자 도편을 분석, 복원하는 작업 중이며, 현재 명지대, 단국대, 경희대, 강남대 등 도예 전문 교수들과 용인문화원 연구 자료를 토대로 수안 장영안, 마순관, 석봉 한도현 도예가가, 이천 전통 가마에서 실험 제작 중이라고 밝혔다.


![]() | ||